1866년 조선 평양에서 벌어진 제너럴 셔먼호 사건 (The General Sherman incident )은 조선과 미국의 첫 갈등이었으며, 이후 **신미양요(1871년)**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이 사건은 단순한 무역 충돌이 아니라, 조선의 쇄국정책과 서양 세력의 개항 압박이 충돌한 역사적 사건이었다. 제너럴 셔먼호는 왜 조선에 들어왔고,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
1. 제너럴 셔먼호란?
제너럴 셔먼호(General Sherman)는 미국 국적의 증기선으로, 1858년 영국에서 건조된 후 미국 상인들이 구매해 운영한 무역선이었다.
- 배의 규모: 길이 30m, 폭 5m, 3개의 돛과 증기기관을 갖춘 배
- 선원 구성: 미국인, 영국인, 중국인 등 다양한 국적의 선원이 탑승
- 목적: 중국과 조선 사이에서 무역 활동
하지만 제너럴 셔먼호가 조선에 온 목적은 여전히 논란이 많다.
- 일부 기록에서는 "평양과의 교역을 원했다"고 하지만, 조선의 기록에서는 "약탈과 폭력을 동반한 불법 침입"이라고 본다. 1866년 신미양요 5년 전 제너럴 셔먼호가 대동강을 거슬러 평양까지 올라온다.

2. 제너럴 셔먼호 사건의 전개
① 제너럴 셔먼 호, 조선 평양으로 진입 (1866년 7월)
- 1866년 7월, 제너럴 셔먼호는 대동강을 따라 평양 근처까지 접근했다.
- 당시 조선은 쇄국정책을 시행하고 있었고, 서양 선박의 입항을 금지하고 있었다.
- 조선 측은 배를 되돌려보내라고 명령했지만, 제너럴 셔먼호는 이를 무시하고 평양으로 접근했다.
② 무역 요청과 충돌 발생
- 제너럴 셔먼호의 선원들은 조선과의 무역을 요구했지만, 조선은 이를 거절했다.
- 조선 관리들은 선박이 불법 입항했으며, 교역이 불가능하다고 경고했다.
- 그러나 제너럴 셔먼호는 강제로 조선 관료들과 접촉하려 시도하며 충돌이 발생했다.
③ 조선 주민과 선원 간의 갈등 심화
- 일부 기록에 따르면, 선원들이 강압적으로 무역을 요구하며 약탈과 폭력을 행사했다고 한다.
- 상선 안에는 미국인 선원과 영국인 선교사들이 있었고 선교사들은 기독교를 전파, 상인들은 통상과 무역에 목적이 있었다.
- 주민들과의 충돌 과정에서 조선인 7명이 사망했다는 기록도 있다.
- 이에 평양의 책임자인 **박규수(朴珪壽)**는 군사적 대응을 결정했다.
④ 제너럴 셔먼호 공격과 격침 (1866년 8월)
완전 분노한 평안 감사는 비가 그치고 수위가 낮아진 대동강 물로 인해 셔먼호가 갯벌에 고립 된 틈을 타서 제러널 셔먼호를 불태워 버린다.
- 조선군과 주민들은 강을 따라 배를 몰아내기 위해 대나무로 만든 화공선(火攻船)을 이용해 불을 지르기 시작했다.
- 불길에 휩싸인 제너럴 셔먼호는 결국 대동강에서 침몰했다.
- 배에 타고 있던 선원들은 모두 사망했으며, 일부는 생포된 후 처형되었다는 기록도 있다.
3. 제너럴 셔먼호 사건의 결과
① 미국의 반발과 조선 응징 계획
- 이 사건은 미국 측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조선에 대한 응징을 계획하는 계기가 되었다.
- 당시 미국은 **"조선이 미국인을 학살했다"**고 주장하며 책임을 물으려 했다.
- 하지만 조선은 **"불법 침입한 서양 배를 격퇴한 것뿐"**이라며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 이로 인해 미국은 군사 행동을 준비했고, **5년 후 신미양요(1871년)**로 이어졌다.
② 박규수의 대응과 쇄국정책 강화
- 제너럴 셔먼호 사건을 진압한 박규수는 조선이 서양의 침략에 맞서 싸울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게 했다.
- 이후 조선 정부는 더욱 강경한 쇄국정책을 유지하게 되었고, 서양 세력을 배척하는 정책을 강화했다.
- 이에 따라 **척화비(斥和碑)**를 전국에 세우며, 서양과의 외교 단절을 공식화했다.
4. 제너럴 셔먼호 사건의 역사적 의미
① 조선과 서양 간 첫 직접적 충돌
제너럴 셔먼호 사건은 조선과 서양 국가 간에 최초로 발생한 무력 충돌이었다. 이 사건을 통해 조선은 서양과의 접촉을 더욱 경계하게 되었으며, 반서구 정서가 더욱 강해졌다.
② 신미양요의 직접적인 원인 제공
제너럴 셔먼호 사건 이후, 미국은 조선에 대한 보복을 계획하며 군사 개입을 준비했다. 결국 1871년 미국이 강화도를 공격하며 신미양요가 발생했다.
③ 개항 전 조선의 외교정책과 한계
조선은 제너럴 셔먼호 사건을 계기로 더욱 문호를 폐쇄하는 정책을 유지했지만, 결국 1876년 일본과의 **강화도 조약(조일수호조규)**을 통해 개항할 수밖에 없었다.
5. 제너럴 셔먼호 사건의 미스터리
제너럴 셔먼호 사건의 진실은 여전히 논란이 많다.
- 미국 측 기록: 평양에서 교역을 시도했을 뿐인데 조선군이 무차별 공격했다고 주장
- 조선 측 기록: 불법 입항 후 약탈과 폭력을 저질러 대응한 것이라고 주장
- 중립적인 해석: 서양과의 외교 경험이 부족했던 조선과, 무력을 앞세운 서양의 충돌이 빚어낸 비극적인 사건
📌 제너럴 셔먼호 사건이 신미양요로 어떻게 이어졌을까? 👉 신미양요 이야기 보기
'아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중근 의사 무덤 : 치바 도이치 그를 존경한 간수 (1) | 2025.02.15 |
---|---|
조미수호통상조약: 조선과 미국의 첫 외교 조약 (1) | 2025.02.15 |
요동정벌 : 이성계와 최영을 갈라놓은 사불가론 (0) | 2025.02.02 |
갑술환국 : 장희빈 최후 죽음, 경종에게 무슨일이? (0) | 2025.02.02 |
인현왕후 폐위와 복위, 그리고 죽음까지 (0) | 2025.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