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아하! 역사15

요동정벌 : 이성계와 최영을 갈라놓은 사불가론 고려 말, 공민왕은 원나라의 쇠퇴를 틈타 철령 이북 지역을 되찾았으며, 이는 고려의 영토 회복과 자주성을 강조한 중요한 정치적 사건이었다. 하지만 공민왕 사후, 우왕과 최영이 이 지역을 유지하고자 명나라와의 충돌을 불사하며 요동정벌을 추진하게 된다. 반면, 이성계는 이를 강하게 반대하며 ‘사불가론(四不可論)’을 내세웠다. 이번 글에서는 철령 이북 반환의 배경, 요동정벌을 추진한 우왕과 최영, 이에 반대한 이성계의 입장과 요동정벌 반대 이유를 살펴본다.  1. 공민왕이 되찾은 철령 이북 지역과 그 배경 1) 원나라의 쇠퇴와 고려의 영토 회복공민왕(재위 1351~1374)은 원나라의 영향력이 약해진 틈을 타 고려의 자주권을 회복하려는 정책을 추진했다. 1356년, 그는 친원파인 기철 일파를 숙청하고, 원나라.. 2025. 2. 2.
갑술환국 : 장희빈 최후 죽음, 경종에게 무슨일이? 조선 숙종 시대, 왕권과 당쟁이 얽히며 가장 극적인 정치적 사건 중 하나가 발생했다. 1694년(숙종 20년) 일어난 갑술환국(甲戌換局) 은 남인 세력의 몰락과 서인의 재집권, 인현왕후의 복위, 장희빈의 강등을 가져왔다. 이 사건 이후 조선의 정치 구조는 크게 바뀌었고, 남인은 사실상 다시는 조선 정치의 중심에 설 수 없게 되었다. 그렇다면 갑술환국은 왜 발생했으며, 그 결과는 어떠했을까? 1. 갑술환국의 원인갑술환국이 일어난 이유는 크게 정치적, 개인적, 왕권 강화의 세 가지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다.(1) 정치적 원인: 남인의 독주와 서인의 반격1689년(숙종 15년),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서인이 실각하고 남인이 정권을 장악했다.남인은 장희빈을 왕비로 세우고, 인현왕후를 폐위시키며 절대적인 권력을.. 2025. 2. 2.
인현왕후 폐위와 복위, 그리고 죽음까지 조선 역사에서 가장 유명한 왕비 중 한 명인 인현왕후(仁顯王后) 민씨. 그녀는 지혜롭고 덕망이 높은 왕비였지만, 조선의 당쟁과 숙종의 변덕스러운 정치로 인해 폐위되는 비극을 겪었다. 그러나 그녀는 다시 왕비의 자리에 복귀하는 극적인 운명을 맞이했다. 인현왕후가 폐위된 이유는 무엇이며, 그녀의 삶은 어떤 파란만장한 과정을 거쳤을까?   1. 명문가에서 태어난 현숙한 왕비인현왕후는 1667년(현종 8년) 한성부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조선 명문 가문인 여흥 민씨 집안에서 자랐다. 아버지인 민유중(閔維重)은 조선의 유력한 정치가였으며, 그녀는 어려서부터 예절과 학문을 익히며 총명하고 단아한 여인으로 성장했다. 1681년(숙종 7년), 15세의 나이로 숙종의 왕비로 간택되었다. 왕비가 된.. 2025. 2. 2.
중국 문화 대혁명 분서갱유와 흡사.. 중국 현대사에서 가장 큰 혼란을 가져온 사건 중 하나가 바로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 1966~1976)**이다. 이 운동은 사회주의 혁명의 순수성을 지키고, 중국 사회를 "새롭게 정비"하겠다는 마오쩌둥의 주장으로 시작되었다. 하지만 그 속내는 자신이 잃어버린 권력을 되찾고 정적을 제거하려는 정치적 목적이 컸다. 문화대혁명은 과거 진시황이 책을 태우고 유학자를 처벌했던 **분서갱유(焚書坑儒)**와 비슷한 면이 있다. 둘 다 사상과 문화를 통제하고 권력을 강화하려는 시도였다. 하지만 문화대혁명은 단순한 억압을 넘어 대중을 동원해 사회 전반을 극심한 혼란에 빠뜨  렸다.   ▼ 마오쩌둥은 진시황을 모방했나? . CLICK  분서갱유 : 법가 VS 유가의 대립 진시황의 선택은?역사 속에서 "책을 태우고 사람.. 2025. 1. 16.
공자 이야기 : 핵심 사상은 무엇? 공자는 약 2500년 전 춘추시대에 살았던 위대한 사상가로, 그의 가르침은 유교라는 철학 체계를 만들어 오늘날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는 단순히 철학자가 아니라, 사회 혼란 속에서 인간다운 삶의 가치를 제시한 지도자였다. 그의 삶, 사상, 그리고 시대적 배경까지 세세히 살펴보겠다. 1. 공자의 생애: 가난 속에서 태어난 배움의 스승공자의 본명은 **공구(孔丘)**이며, 기원전 551년에 중국 노나라의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귀족 혈통이었지만, 아버지의 죽음으로 어린 공자는 가난한 환경에서 성장해야 했다. 어머니는 공자의 학문에 대한 열정을 북돋아주었고, 그는 어릴 때부터 배움에 몰두했다. 청소년 시절부터 공자는 지식뿐만 아니라 예절과 도덕성을 갖추는 데 관심을 가졌다. 그는 다양한 분.. 2025. 1. 16.
중종반정 연산군 직감하다 : 조선 최초의 반정 연산군은 조선 역사상 가장 논란이 많은 군주로, 그의 폭정과 사치로 인해 결국 중종반정으로 왕위에서 물러나게 되었다.중종반정은 조선시대 최초의 반정으로 그의 몰락은 단순히 신하들의 반란으로 갑작스럽게 일어난 것이 아니었다. 연산군은 자신의 권위가 흔들리고, 신하들이 자신을 배반할 수 있다는 징후를 여러 번 직감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적절한 대처를 하지 못하고 몰락의 길을 걷게 된다. 그렇다면 연산군이 반정을 직감했던 구체적인 정황과 그의 심리적 대응은 어땠는지 알아보자. 연산군의 폭정과 불안의 시작연산군(재위: 1494-1506)은 초기에는 효율적인 행정을 보이며 유능한 군주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그의 통치는 어머니 윤씨의 사사 사건(폐비 윤씨 사건, 1479년)이 심리적 트라우마로 작용하면서 .. 2025. 1.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