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아하! 역사15

태종 이방원, 원경왕후의 무덤 : 헌릉 , 왕좌의 게임이 끝난 자리 헌릉은 조선의 제3대 왕인 태종 이방원과 그의 왕비 원경왕후 민씨의 묘역으로, 서울 서초구 내곡동에 위치해 있다.1422년(세종 4년)에 조성되었다.헌릉을 방문하면 조선 왕조의 가장 격렬하고 복잡했던 초기 역사가 떠오른다. 특히 태종 이방원이 권력을 잡기 위해 치러야 했던 ‘왕자의 난’과 그 후유증이 헌릉의 역사적 배경에 짙게 깔려 있다.  피로 얼룩진 왕자의 난과 태종의 왕권태종은 조선 건국의 주역인 태조 이성계의 아들이었지만, 단순히 장남이 아닌 셋째 아들이었다. 그러나 그는 뛰어난 정치적 감각과 결단력을 바탕으로 자신보다 윗서열에 있었던 형제들을 제거하고 왕위에 올랐다. 이를 가능케 한 사건이 바로 1398년의 제1차 왕자의 난과 1400년의 제2차 왕자의 난이다.  태종 이방원은 제1차 왕자의 난.. 2025. 1. 11.
신라 금관 특징 (금관총, 천마총, 금령총, 황남대총, 서봉총) 신라 금관 특징 금빛 찬란한 장신구들 신라는 황금의 나라이다. 신라의 수도 서라벌을 금성이라고 부를만큼 금이 풍부한 나라였다. 우리가 보던 황금 유물들은 모두 신라 고분에서 발견된 것이다. 하일라이트는 역시 금관이다. 나무를 상징하는 장식과 사슴뿔을 상징하는 장식으로 이루어진 금관으로 전형적인 신라 금관 형태이다. 금관의 주인은 나무와 사슴을 신성시 했다. 출토될 당시 이마가 아닌 턱에 걸쳐있었던 금관은 염을 하고 나서 머리를 감싼 것이다. 신라의 금관은 실제로 썼는지 부장용(장례용품)인지는 모르지만 염을 한 뒤 관을 씌운 건 사실이다. 금관과 함께 금팔찌, 금제 허리띠, 금동 신발이 한 세트로 출되어 경주박물관에 출토 되었을때 모습을 전시한 모습이다. 금관총의 금관 금관총 유물 금 무게만 약 7.5kg.. 2023. 1. 31.
남이섬 속 남이 장군 무덤 진짜일까? (북정가 /조선시대 혜성의 의미) 남이섬에 가면 입구에 바로 보이는 무덤이 있다. 겨울연가 촬영지로 유명한 섬이라고만 생각했던 곳인데 남이섬의 이름은 조선시대 장수 '남이'의 이름에서 따온 섬이다. 남이 장군은 누구인가? 남이섬 속 무덤은 진짜일까? 남이 장군은 유자광에게 역모죄로 죽임을 당했다. 당시 유자광이 제시한 역모죄는 무엇이었을까? 남이섬 속 남이 장군 혜성과 함께 사라지다. (진짜 무덤은 어디에?) 남이섬은 한류열풍으로 외국인들이 많이 찾아오는 섬이지만 남이섬의 이름이 남이 장군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라는 것을 아는 사람은 많이 않다. 남이 장군은 세조 말의 인물이다. 남이 장군은 jangane.tistory.com 2022. 4. 19.
반응형